티스토리 뷰

SQL/SQL 개념

SQL형 변환 함수

wlsl00 2023. 2. 2. 19:21

<종류>

종류 설명
TO_CHAR 날짜형 혹은 숫자형을 문자형으로 변환한다. (문자상수 -> 숫자상수)
TO_DATE 문자형을 날짜형으로 변환한다. (숫자상수,날짜형식 -> 문자상수 변환(format) : 'yyy-mm-dd')
TO_NUMBER 문자형을 숫자형으로 변환한다.(입력용:문자상수('day-month-year') -> 날짜형 변환 ('yyy-mm-dd'))

-  형 변환 : 숫자, 문자, 날짜의 데이터 형을 다른 데이터형으로 변환
 - 형 변환 함수 : TO_NUMBER, TO_CHAR, TO_DATE 


1) TO_CHAR 함수
 다음은 현재 날짜를 기본 형식과 다른 형태로 출력한 예

SELECT SYSDATE, TO_CHAR(SYSDATE, 'YYYY-MM-DD')
FROM DUAL; ---  23/02/02       2023-02-02


   날짜 출력 format 

종류  의미
YYYY/YY 년도 4자리, 년도 2자리
MM/MON 월 2자리, 월 문자
DD 일 2자리
DAY/DY 요일 3자리, 요일 1자리
MI 분 표현
SS 초 표현

 

  시간 출력 format

종류 의미
AM 또는 PM 오전(AM), 오후(PM) 시각 표시
A.M 또는 P.M 오전(A.M), 오후(P.M) 시각 표시
HH또는 HH12 시간(1~12)
HH24 24시간으로 표현(0~23)
MI 분 표현
SS 초 표현

 

2). TO_DATE함수

- 날짜 형은 세기, 년도, 월, 일. 시간, 분. 초와 같이 날짜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.

- 오라클에서 기본 날짜 형식은 ‘YY/MM/DD'형식으로 ‘년/월/일’ 로 나타낸다.

- 만일 년도를 4자리로 출력하려면 ‘YYYY/MM/DD' 형식으로 지정

- TO_DATE 함수는 문자열을 날짜 형으로 변환

- 형식 TO_DATE(‘문자’, ‘format')

 


3) TO_NUMBER 함수
- TO_NUMBER 함수는 특정 데이터를 숫자형으로 변환
- 산술 연산을 하려면 문자형을 숫자형으로 변환한 후에 실행해야 한다. 

SELECT TO_NUMBER('20,000', '99,999')
TO_NUMBER('10,000', '99,999')
FROM DUAL; -10000

'SQL > SQL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OIN  (1) 2023.02.06
GROUP 함수  (0) 2023.02.03
SQL 문자 처리 함수  (1) 2023.02.02
SQL 숫자 함수  (0) 2023.02.02
테이블 제약 조건  (0) 2023.01.31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